728x90
한국의 전통 명절 음식 중 하나인 동그랑땡 전은 동그랗고 귀여운 모양과 풍부한 감칠맛으로 많은 사랑을 받는 요리입니다. 추석과 설날 같은 명절뿐만 아니라 일상에서도 즐겨 먹는 반찬이자 안주로도 인기가 많습니다.
이 글에서는 동그랑땡 전을 만드는 방법을 재료 준비, 손질법, 반죽 만들기, 전 부치는 과정까지 상세하게 소개합니다. 또한 전문가처럼 동그랑땡을 맛있게 만드는 팁과 실패하지 않는 방법도 함께 알려드리겠습니다.
1. 동그랑땡 전 재료 준비
(1) 기본 재료
재료양
돼지고기 간 것 | 300g |
두부 | 1/2모 (약 150g) |
당근 | 1/4개 |
양파 | 1/4개 |
대파 | 1대 |
다진 마늘 | 1작은술 |
달걀 | 2개 |
부침가루 | 1/2컵 |
소금 | 1작은술 |
후추 | 약간 |
참기름 | 1작은술 |
식용유 | 적당량 |
(2) 반죽을 위한 양념
- 소금과 후추: 기본적인 간을 위해 필수
- 참기름: 고소한 풍미를 추가
- 다진 마늘: 한국 요리의 깊은 맛을 살리는 필수 요소
(3) 전을 부칠 때 필요한 추가 재료
- 달걀 2개: 반죽을 코팅하여 더욱 부드러운 식감을 줌
- 부침가루: 바삭한 식감을 더하기 위해 사용
- 식용유: 팬에 구울 때 필요
2. 동그랑땡 전 만들기 – 손질 및 반죽 과정
(1) 재료 손질하기
- 두부 물기 제거
- 두부를 키친타월로 감싸서 10분 정도 눌러 물기를 제거합니다.
- 물기가 많으면 반죽이 질어져서 부치기 어려우므로 꼭 제거해주세요.
- 야채 다지기당근, 양파, 대파를 곱게 다져줍니다.
- 크기가 너무 크면 동그랑땡 반죽이 부서질 수 있으므로 최대한 곱게 다지기가 중요합니다.
- 돼지고기 손질 -돼지고기는 간 것을 사용하면 편리하지만, 직접 다질 경우에는 지방과 살코기의 비율을 7:3 정도로 맞추면 맛이 좋습니다.
(2) 모든 재료를 섞고, 큰 볼에 넣고 치대기를 한다.
1. 큰 볼에 돼지고기, 두부, 다진 야채를 넣습니다. 2. 소금, 후추, 다진 마늘, 참기름을 넣고 반죽합니다. 3.반죽을 골고루 섞어 5~10분 동안 치대줍니다. 4손으로 반죽을 쳐서 뭉치면 더욱 쫀득한 식감이 납니다
(3) 동그랑땡 모양 만들기 & 부치기
- 손바닥에 식용유를 살짝 바르고 반죽을 한 입 크기로 동그랗게 만듭니다.
- 지름 3~4cm 정도가 적당하며, 너무 크면 익히는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.
(4) 프라이팬에 부치기
- 중약불에서 프라이팬을 예열한 후 식용유를 넉넉히 두릅니다.
- 계란물을 묻힌 동그랑땡을 올려 약불에서 3~4분씩 천천히 익힙니다.
- 한쪽이 노릇해지면 뒤집어서 반대편도 같은 방식으로 익혀줍니다.
- 속까지 충분히 익었는지 확인한 후, 키친타월 위에 올려 기름기를 제거합니다.
4. 맛있게 동그랑땡 먹는 법 & 보관 방법
(1) 곁들여 먹기 좋은 소스
1. 간장 + 식초 + 다진 파를 섞어 찍어 먹으면 맛이 더욱 살아납니다.
2.케첩과도 잘 어울리므로 어린아이들에게 추천!
(2) 보관 방법
1.남은 동그랑땡은 밀폐 용기에 담아 냉장 보관하면 2~3일 보관 가능2.
2.냉동 보관할 경우, 한 장씩 랩에 싸서 냉동 후 2~3개월 내 섭취 권장
첨언
야채 듬뿍, 두부를 첨가한 동그란땡 고기 전을 섭취하는 것은 건강하고 젊음을 유지할 수 있는 비결이지요.
728x90
반응형